Twitter Buddha (atelier t*h, 2012)

Ghost in the Shell :: Homage for Namjune Paik & John Cage

_ Interactive 2D Video with Tweets' data & Interactive 3D Video with Realtime Camera
_ 3D Video Texture Mapping by JiHyun Yoon


_ Atelier t*h exhibition, Zeroone Design Center, Seoul, Korea
_ 2012.12.14.-12.21.

_ The Art of New Media, Arseniev State Museum of Primorsky region, Vladivostok, Russia
_ 2013.11.03.-11.07.


Seeing Buddha in this gloomy society

What a narcissistic individual faces in the imaginary sphere of virtual reality is him/herself, more than anyone else. - Excerpt from ‘Fatigue Society’ by Byungchul Han

Created in commemoration of the 8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Namjune Paik, <Twitter Buddha> is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Paik’s legendary work <TV Buddha> (1974). Paik’s TV screen is replaced with SNS data such as that of Twitter, and the figure of Buddha staring at the screen is transformed into a virtual image of Buddha. Moreover, the work re-creates the tension of closed circuits by temporarily storing real-time generated data and thereby rendering its state from “online” to “stand-alone”. The randomly collected data is then played in a loop for 4’ 33’’. I hope that Namjune Paik’s wish to celeb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John Cage’s birth will live on in the realm of new media through <Twitter Buddha>.


<TV 부처> 와 <Twitter 부처> 그리고 백남준과 존 케이지

<Twitter 부처>는 백남준 탄생 80주년을 맞아 그의 1974년도 작품인 <TV 부처>를 현재의 뉴미디어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TV 화면은 트위터와 같은 SNS 데이터로 바뀌고, 이를 응시하던 부처의 모습은 실제 불상이 아닌 가상의 부처의 이미지로 탈바꿈합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온라인이 아닌 스탠드얼론 상태로 만들어 폐쇄 회로의 긴장감을 재현합니다. 무작위로 추출된 데이터는 <4분 33초> 동안 흐르며 반복됩니다. 존 케이지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며 퍼포먼스를 하고 싶었던 백남준의 염원이 이 작품을 통해 뉴미디어에서도 영원히 지속되길 바랍니다.

진정한 일탈을 꿈꾸며

현재의 미디어는 과잉의 텍스트로 넘쳐나고 이를 관조하는 자세야말로 우리에게 일탈을 경험하게 한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각 개인의 모습은 곧 산수(山水)이자 우주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화면을 한순간이라도 바라보지 않으면 불안해하는 우리는, 과연 네트워크와 단절된 상태에서도 존재할 수 있을까?

- 김태윤 작가노트 中

우울사회(Gesellschaft der Depression)에서 부처를 보다

새로운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도 타자를 향한 존재의 두께를 더욱 줄여놓는다. 가상공간에서는 타자성과 타자의 저항성이 부족해진다. 가상공간에서 자아는 사실상 “현실원리”없이, 다시 말해 타자의 원리와 저항의 원리에 구애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가상현실 속의 상상적 공간에서 나르시스적 주체가 마주하는 것은 무엇보다 자기 자신이다.

... (중략) ... 우울증은 모든 관계와 유대에서 잘려나간 상태이다. 우울증에는 아무런 중력도 없다. ... (중략) ...

후기근대의 자아는 리비도적 에너지의 대부분을 자기 자신에게 사용한다. 그렇게 쓰고 남은 리비도는 계속 늘어나는 연락처와 일시적 관계에 배분되고 흩어진다. … (중략) … 소셜 네트워크 속의 “친구들”은 마치 상품처럼 전시된 자아에게 주의를 선사함으로써 자아 감정을 높여주는 소비자의 구실을 할 따름이다.

- 한병철의 피로사회(Müdigkeitsgesellschaft, p95~96) 중에서


NEWS